Github

[Git & Github사용법] 처음 시작하기2

jpocket 2025. 3. 28. 15:57
반응형

5. 원격 저장소를 로컬로도 가져올 수 있을까?

원격 저장소를 로컬에 가져오려면 역시 그 연결고리가 필요하다. 다음과 같이 repository의 주소를 복사.

 

git clone [주소]

 

 

first-repository 안에 README.md 파일을 보면

# first-repository와 ## git config 가 적혀있다.

clone 성공!

 

 

 


6. 로컬로 가져온 원격 저장소를 수정해서 다시 push해 보자!

이제는 clone한 파일에서 수정을 하여 다시 원격저장소에 push 하는 과정

echo "add new contents" >> README.md

README.md 에 add new contents 라는 문구를 추가하는 코드

즉, 수정을 하는 거다.

 

git status 명령어를 통해 상태가 어떻게 변화하는 지 확인할 수 있다.

빨간 글씨로 modified 라고 되어있으니 수정이 잘 되었다는 의미.

 

 

 

 

수정이 잘 되었으면 다시 원격 저장소로 push해주어야 한다.

git add README.md
git commit -m "[여기에 문구 입력]"
git push origin master 혹은 git push origin main

 

 

 

 github에서 확인해보면 수정 사항이 잘 push 되었다.

 

 

 

 


7. 로컬 저장소를 원격 저장소의 내용과 같게 업데이트하자!

원격 저장소의 README.md 파일이 수정된 것을 로컬저장소의 README.md에도 업데이트를 해준다.

git pull origin master 혹은 git pull origin main

 

 

 

 


지금까지 정리한 것들을 도식화하였다.

 

 

 


학과 과정을 거치면서 깃허브를 처음 접했을 때, 엄청 어려워했던 기억이 떠올랐다.

왜 이렇게 어려운 걸 쓰는지 도통 이해가 되지 않았지만,,

지금와서 생각해보면 이보다 편한 건 없는 듯하다.

250328 깃허브 복습 완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