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oday
- Total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함수활용
- 주피터노트북
- 컴프리헨션
- 데이터
- 변수
- bigquery
- python
- 2주차
- 빅쿼리
- 데이터베이스
- 데싸4기
- error
- 개념정리
- 비교연산자
- 1주차
- 모두의연구소
- 파이썬문법
- 깃허브
- 환경세팅
- sql
- jupyter
- 함수
- 데이터사이언티스트
- 논리연산자
- github
- Jupyter Notebook
- data
- AI
- 파이썬
- 딕셔너리
목록변수 (3)
🛠 일급 객체(내가 일급 객체를 이해한 내용으로 정리해보았다.) 우리가 이미 알고 있는 int, float, str 타입의 객체는 일급 객체이다. ❓ int, float, str타입의 객체의 특징으로 뭐가 있을까 1)# 변수로 할당x = 3 2)# 자료구조 안에 담기y = [1, 2, 3] 3)# 매개변수로 전달 a, b = 3, 1def add(x, y): print(x + y)add(a, b) 4)# 리턴값으로 사용 def num(): return 3 num() 📌1) 변수로 할당할 수 있다.2) 데이터 구조(=자료구조) 안에 그 객체를 담을 수 있다.3) 매개변수 형태로 전달할 수 있다.4) 리턴값으로 사용할 수 있다. ✅ 4가지 조건들을 만족하는 객체를 일급 객체 라고 부른다...

1. 인수의 형식1) 위치 인수1. 함수에 넣는 인수의 위치가 정해져 있는 형식2. 인수를 순서대로 넣을 때, 리스트나 튜플 사용 ok3. 리스트나 튜플 앞에 *(애스터리스크)를 붙여서 함수에 넣어 사용 def print_nums(a, b, c): print(c) print(b) print(a) a = [10,20,30]print_nums(*a)302010 리스트 앞에 *(애스터리스크)를 붙이면 언패킹 되어서 인수가 각각의 매개변수에 대입되어 실행된다. ※ 참고 ※ a = [10, 20, 30, 40]print_nums(*a)인수의 개수와 함수의 매개변수 개수가 다를 때 에러 발생 2) 가변 인수※ 참고 ※언팩킹은 인자에 * 기호 붙임가변 인수는 매개변수 앞에 * 기호 붙임 ..

불(bool) 자료형True or False(첫 자가 대문자, 소문자로 적으면 불 자료형이 아님) bool 타입을 확인할 때는 bool() 함수를 이용하여 알 수 있다. # 자료형 불 타입 확인해보기bool(0.0)False 변수1) =(assignment) 기호를 사용하여 변수를 만든다. 2) 변수명의 규칙영문자(대, 소문자 구분), 숫자, 언더바(_)만 사용 가능첫 자리에는 숫자를 사용할 수 없습니다.예약어(파이썬 키워드)는 변수명으로 사용할 수 없다. 3) 변수를 만드는 여러 가지 방법1. 튜플# 아무 괄호가 없다면 => 튜플# 튜플로 변수에 값을 할당할 수 있다.a, b, c = 11, 22, 33b22 2. 리스트# 리스트로도 가능[d, e] = ['Hello', 'world']d'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