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oday
- Total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python
- 1주차
- 파이썬
- AI
- 2주차
- 데이터베이스
- 딕셔너리
- 파이썬문법
- error
- 데이터사이언티스트
- 모두의연구소
- 함수
- sql
- jupyter
- 논리연산자
- bigquery
- github
- 깃허브
- 개념정리
- 주피터노트북
- 환경세팅
- 데싸4기
- 컴프리헨션
- 빅쿼리
- 비교연산자
- Jupyter Notebook
- 데이터
- 변수
- 함수활용
- data
목록함수 (5)
모듈(module): .py 확장자의 파일. 파일 안에 변수나 함수, 클래스 등을 저장할 수도 있고, 모듈 자체가 실행할 수 있는 코드패키지(package): 모듈 여러 개를 묶은 것라이브러리(library): 여러 패키지와 모듈을 모아둔 것👉 셋 사이의 관계: 라이브러리 ≥ 패키지 ≥ 모듈 모듈 🔶 random 모듈import random 🔶 random()# Q. 5개의 난수를 출력해 보세요.import random as rfor i in range(5): print(r.random()) 🔶 randint(a, b)r.randint(1,6)# 1 🔶 seed()✅ 같은 시드값을 사용하면 항상 같은 순서의 난수가 생성됨. 🔶 math 모듈math 모듈은 수학과 관련된 모듈이다..
🛠 일급 객체(내가 일급 객체를 이해한 내용으로 정리해보았다.) 우리가 이미 알고 있는 int, float, str 타입의 객체는 일급 객체이다. ❓ int, float, str타입의 객체의 특징으로 뭐가 있을까 1)# 변수로 할당x = 3 2)# 자료구조 안에 담기y = [1, 2, 3] 3)# 매개변수로 전달 a, b = 3, 1def add(x, y): print(x + y)add(a, b) 4)# 리턴값으로 사용 def num(): return 3 num() 📌1) 변수로 할당할 수 있다.2) 데이터 구조(=자료구조) 안에 그 객체를 담을 수 있다.3) 매개변수 형태로 전달할 수 있다.4) 리턴값으로 사용할 수 있다. ✅ 4가지 조건들을 만족하는 객체를 일급 객체 라고 부른다...

1. 인수의 형식1) 위치 인수1. 함수에 넣는 인수의 위치가 정해져 있는 형식2. 인수를 순서대로 넣을 때, 리스트나 튜플 사용 ok3. 리스트나 튜플 앞에 *(애스터리스크)를 붙여서 함수에 넣어 사용 def print_nums(a, b, c): print(c) print(b) print(a) a = [10,20,30]print_nums(*a)302010 리스트 앞에 *(애스터리스크)를 붙이면 언패킹 되어서 인수가 각각의 매개변수에 대입되어 실행된다. ※ 참고 ※ a = [10, 20, 30, 40]print_nums(*a)인수의 개수와 함수의 매개변수 개수가 다를 때 에러 발생 2) 가변 인수※ 참고 ※언팩킹은 인자에 * 기호 붙임가변 인수는 매개변수 앞에 * 기호 붙임 ..

1.예약어(Reserved Words) 예약어는 절대로 변수명으로 쓰일 수 없다 2) 25개 예약어예약어 중 True, False, None 을 제외하고는 모두 소문자로 이루어져 있다.즉, 예약어는 대,소문자를 구별하니 주의해야 합니다. 🔥 한 줄 요약더보기위의 예약어로는 변수명으로 사용하지 못한다. 2.함수1) 파이썬에서 함수란이미 내장되어 있는 함수를 가져다가 사용할 수도 있고, 직접 만들 수도 있다.파이썬에서는 식별자 뒤에 괄호가 붙어 있으면 해당 식별자를 함수라 부른다. 함수를 왜 사용하나요?매번 동일한 코드를 반복해서 쓰는 것보다함수로 한번 정의해 놓고 계속 사용하는 것이 효율적이기 때문 함수에 대한 용어 모음zip- 함수를 정의한다.- 함수를 호출한다.- 매개변수- 인수- 리턴값, 반..

이 포스팅은 리스트와 관련된 함수들에 관한 내용이다.그 전에, 문자열을 다루는 방법에 대해서헷갈릴 수 있는 부분을 간단히 적어보았다. 문자열 1. 큰, 작은 따옴표 연속 3개(""") 혹은 (''')에 둘러싸기"""월을""" 혹은 '''월을''' '월을' 2. 여러 줄인 문자열을 변수에 대입하고 싶을 때(1) 연속된 작은 따옴표 3개 또는 큰 따옴표 3개를 사용(2) 이스케이프 코드(확장열) 사용하기큰 따옴표와 작은 따옴표 둘 다 나타내고 싶을 때는 아까처럼 이스케이프 코드를 사용하면 됩니다.answer = '\"Don\'t worry!\"'"Don't worry!" 리스트 관련 함수들 1) 추가(append(x)) : 맨 마지막에 추가, 모든 자료형 추가 가능, 하나씩만 추가 가능즉..